높새바람(푄) [Fohn]

2002.12.18 14:17

시샤 조회 수:1079

높새바람이란 기상학에서 푄(Fohn)이라고 하는 따뜻하고 건조한 바람을 말한다. 푄은 산꼭대기에서 산기슭으로 불어 내리는 바람의 일종으로서 독일 사람에 의하여 알프스 지방에서 처음으로 발견되었다.
바람이 한쪽 산허리를 따라 불어 올라가 산꼭대기에 도달한 후 반대쪽 산허리를 따라 불어 내릴 경우 처음에 불어 올라가는 공기 온도 15도이고 포화상태인 습한 공기였다면 산허리를 따라 돌아갈 때 구름이 형성되어 비가 내리게 된다. 이때 습윤단열변화(수증기가 포함된 공기 덩어리가 대기중에서 상승할 경우 열의 출입이 없다고 가정하는 변화)에 의해 100m 상승할 때마다 공기의 농도가 약 0.5도씩 낮아진다.
만약, 산의 높이가 2000m라면 산꼭대기에서의 온도는 5도가 되며, 이 공기가 반대쪽의 산허리를 따라서 내려올 때에는 건조단열변화(건조한 공기덩어리가 대기중에서 상승할 경우 열의 출입이 없다고 가정하는 변화)에 의해서 100m 내려올 때마다 온도가 1도 정도씩 높아지게 되므로 산기슭에 도달했을 때에는 온도가 25도 정도로 상승된다.
즉, 습한 공기가 2000m의 산을 넘음으로써 기온이 10도나 상승되는 것이다. 또한 이때 산꼭대기의 습도가 100퍼센트라 하더라도 산기슭에 도달했을 때에 38퍼센트에 불과하기 때문에 따뜻하고 건조한 높새바람이 생기게 된다.
우리나라에는 높은 산줄기가 많기 때문에 이와 같은 현상이 여기저기에서 많이 일어나고 있다. 백두대간 산줄기인 지리산, 대관령 등과 한라산 등지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으로서 바람이 불어 올라가는 쪽은 비교적 기온이 낮고 비가 내리는 데 반해, 반대쪽은 날씨가 좋으며 기온이 높고 건조한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9 단테 알리게리 [Dante Alighieri] 시샤 2002.12.18 1188
58 단백질 시샤 2002.12.18 1028
57 단독등반 [Solo Climbing] 시샤 2002.12.18 1158
56 다울라기리 [Dhaulagiri] 시샤 2002.12.18 1299
55 니커보커 [knickerbocker] 시샤 2002.12.18 1032
54 니쉬 [niche] 시샤 2002.12.18 1321
53 니들 [needle] 시샤 2002.12.18 1167
52 능선 시샤 2002.12.18 934
51 눈처마 [cornice] 시샤 2002.12.18 1495
» 높새바람(푄) [Fohn] 시샤 2002.12.18 1079
49 네틀턴 부인 [Mrs C. W, Nettleton] 시샤 2002.12.18 1526
48 너트 [nut] 시샤 2002.12.18 988
47 낭마 피크 [Nangmah Peak] 시샤 2002.12.18 1254
46 낭가파르밧 [Nanga Parbat] 시샤 2002.12.18 1112
45 날진 용기 시샤 2002.12.18 1023

로그인

오늘:
103
어제:
313
전체:
910,673

신입 회원 소식

현재 접속자


Copyright(c) 1982-2014 All rights reserved. 임곡산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