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부 [Mt. Bugaboo]

2002.12.18 15:33

시샤 조회 수:1538

부가부(Mt. Bugaboo 3,399m)

부가부 그룹에는 매우 많은 봉우리들이 있으며 캐나디언 록키산군의 전형적인 바위질과는 달리 화강암으로 되어있다. 여기서는 주로 암벽등반이 행해진다. 벤쿠버에서 가장 가까운 봉우리인 이곳은 95번 고속도로를 따라가다가 파슨(Parson)이라는 작은 마을에서 남쪽으로 내려가면 부가부 빙하와 만나게 된다. 그곳에서 가파른 언덕을 올라가면 해발 2,310m에 위치한 보울더 캠프가 나온다. 부가부 지역은 일반적으로 기후가 그렇게 좋지는 않지만 등반에 적합한 시기는 8월이다.
부가부 스파이어는 이름 그대로 도깨비 같은 다양한 면을 갖고 있는 화강암벽으로 피라미드 형상을 하고 있으며, 남동벽은 450m나 솟아있다. 1916년 남릉으로 초등된 이래 수많은 클라이머들이 등반을 하였지만 동릉은 1958년에야 초등이 이루어졌다. 동릉은 난이도 5.7정도로서 46시간 정도 소요된다.


--------------------------------------------------------------------------------

1933년 소링톤(Thorington)에 의해, 이 일대의 지도가 그려졌다. 그전까지는 등반이 거의 행해지지 않았다. 지역이 매우 넓으며 각 봉우리마다 특유의 모습을 하고 있으며 어느 봉이나 56개의 코스가 나 있다. 상당히 힘든 곳이다. 대표적인 봉우리는 노스 포스트(2,711m), 브랜타(2,941m, 피죤(3,124m) 등이다.
루트 IIV로 명명된 곳은 스노우 패치빙하의 서쪽에 있으며 부가부 봉의 초등 코스로 1916년 케인에 의해 등정되었다. 동쪽 부근에서 등반이 시작되며, 정상 근처까지는 III급이고 이후 정상까지는 IV급의 암벽등반이다. 루트 2는 1958년 초등되었으며 동릉의 기존루트이다. 하단부에는 약 40m의 침니가 있으며, 매우 힘이 드는 곳이다. 왼쪽으로는 3m의 하강을 해야하는 곳이 있고 그 위로는 크랙, 침니, 레이백 등 다양한 기술을 요하는 길이 있다. 한 피치는 대부분 40m 이고, 정상 바로 밑의 피치는 약 10m의 디에드르 형태로 되어있다. 하강은 정상에서 하지 않고 조금 밑에 있는 잔다름에서 한다.


--------------------------------------------------------------------------------

루트3은 1959년 년 초등된 서벽코스이다. 서벽 중심에 있는 걸리 근처에서 출발한다. 하단부 약 120m는 로프 없이 오를 수 있고, 그 위의 걸리는 경사가 완만하며 정상 밑 100m 부근에서 매우 힘든 트래버스를 한번 해야 한다. 암벽의 높이는 약 610m.


로그인

오늘:
103
어제:
313
전체:
910,673

신입 회원 소식

현재 접속자


Copyright(c) 1982-2014 All rights reserved. 임곡산악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