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루직 매듭 [Prusik knot]
2002.12.18 18:16
프루직 매듭(Prusik knot)
이 매듭은 고정된 자일을 타고 오르내릴 때 등강기가 없는 비상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자기 확보줄로도 많이 사용한다. 오버행을 하강할때 자일이 엉겨 있거나, 자일 끝이 바닥에 닿지 않은 경우에 쓸 수 있다. 수직으로 늘어진 자일에 코드 슬링(프루직)을 두세번 감고 밑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매듭이 수직 로프에 꽉 물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반대로 힘을 빼면 매듭이 느슨해져 감긴 슬링을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드_슬링의 굵기는 로프 굵기의 절반 정도가 제일 효과적이다. 코드 슬링이 너무 굵으면 제동이 되지 않아 위험하다. 즉, 주 자일의 굵기가 10mm일 때에는 프루직 슬링의 굵기는 주자일보다 가는 5∼7mm가 적합하며 코드 슬링을 사용해야만 매듭이 가능해진다. 하중을 풀고 손으로 밀면 줄을 따라서 자유스럽게 움직이지만 체중이 걸리면 밑으로 미끄러져 내리지 않는다
하중이 충격적으로 걸릴 경우 제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줄이 얼어붙은 상태에서도 제동이 잘 안된다. 등반자가 추락시 자신을 스스로 구할 수 있으며, 추락한 동료나 짐을 끌어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이 매듭은 고정된 자일을 타고 오르내릴 때 등강기가 없는 비상시에 사용하거나 또는 자기 확보줄로도 많이 사용한다. 오버행을 하강할때 자일이 엉겨 있거나, 자일 끝이 바닥에 닿지 않은 경우에 쓸 수 있다. 수직으로 늘어진 자일에 코드 슬링(프루직)을 두세번 감고 밑으로 잡아당기면 감긴 매듭이 수직 로프에 꽉 물려서 흘러내리지 않고, 반대로 힘을 빼면 매듭이 느슨해져 감긴 슬링을 위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코드_슬링의 굵기는 로프 굵기의 절반 정도가 제일 효과적이다. 코드 슬링이 너무 굵으면 제동이 되지 않아 위험하다. 즉, 주 자일의 굵기가 10mm일 때에는 프루직 슬링의 굵기는 주자일보다 가는 5∼7mm가 적합하며 코드 슬링을 사용해야만 매듭이 가능해진다. 하중을 풀고 손으로 밀면 줄을 따라서 자유스럽게 움직이지만 체중이 걸리면 밑으로 미끄러져 내리지 않는다
하중이 충격적으로 걸릴 경우 제동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줄이 얼어붙은 상태에서도 제동이 잘 안된다. 등반자가 추락시 자신을 스스로 구할 수 있으며, 추락한 동료나 짐을 끌어올릴 때도 유용하게 사용된다.
댓글 0
| 번호 | 제목 | 글쓴이 | 날짜 | 조회 수 |
|---|---|---|---|---|
| 404 | 하강기 [Descender] | 시샤 | 2002.12.18 | 2332 |
| 403 | 핑크 포인트 [Pink point] | 시샤 | 2002.12.18 | 1573 |
| 402 | 핀스터라르호른 [finsteraarhorn] | 시샤 | 2002.12.18 | 1676 |
| 401 | 피피 훅 [fifi hook] | 시샤 | 2002.12.18 | 1918 |
| 400 | 피크 헌팅 [Peak hunting] | 시샤 | 2002.12.18 | 1749 |
| 399 | 피크 [peak] | 시샤 | 2002.12.18 | 1966 |
| 398 | 피치 [Pitch] | 시샤 | 2002.12.18 | 1527 |
| 397 | 피츠로이 [Fitzroy] | 시샤 | 2002.12.18 | 1723 |
| 396 | 피셔맨즈 매듭 [Fisherman's knot] | 시샤 | 2002.12.18 | 2793 |
| 395 | 피나클 [Pinacle] | 시샤 | 2002.12.18 | 2274 |
| 394 | 플랫폼 [platform] | 시샤 | 2002.12.18 | 1742 |
| 393 | 플래싱 [Flashing] | 시샤 | 2002.12.18 | 184811 |
| 392 | 플라스틱 비브람 | 시샤 | 2002.12.18 | 1774 |
| 391 | 프리 솔로 [Free solo] | 시샤 | 2002.12.18 | 1850 |
| » | 프루직 매듭 [Prusik knot] | 시샤 | 2002.12.18 | 2920 |
